////////////////////////////////////////////////////////////////////////////////////////////////
2) 쉘권한이 없는 사용자들이 ftp를 사용가능하게 하려면?
대부분의 ftp서버는 로그인시 쉘을 요구하게 됩니다. 하지만 쉘 권한을 주지 않은 사용자들에게 ftp접근 권한을 주려면 /etc/pam.d/vsftpd파일에서 4번째 줄에 #을 입력하여 주석 처리 합니다.
(check_shell=NO 라는 지시자가 있었지만 PAM인증을 받는 곳에서는 작동하지 않았다.)
#%PAM-1.0
auth required pam_listfile.so item=user sense=deny file=/etc/vsftpd.ftpusers onerr=succeed
auth required pam_stack.so service=system-auth
#auth required pam_shells.so
account required pam_stack.so service=system-auth
session required pam_stack.so service=system-auth
////////////////////////////////////////////////////////////////////////////////////////////
3) 사용자 home 디렉토리를 벗어나지 못하게 하려면?
ftp사용자가 자기 home디렉토리를 벗어나지 못하게 하려면 다음과 같이 설정합니다.
chroot_list_enable=YES
chroot_local_user=YES
위와같이 설정합니다. 접속하면 /etc/vsftpd.chroot_list 파일이 없다고 에러가 나게 됩니다.
단순히 touch /etc/vsftpd.chroot_list 이렇게 파일을 만들어 주면 됩니다.
그리고 특정유저는 제외하려면 /etc/vsftpd.chroot_list 파일에 사용자 계정을 넣어줍니다.
//////////////////////////////////////////////////////////////////////////////////////////
4) "."으로 시작하는 숨김파일을 기본적으로 보이게 하려면?
리눅스에서 "."으로 시작하는 파일은 숨김 파일입니다. 하지만, 다른 os에서는 "."으로 시작해도 숨김파일으로 취급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경우 항상 "."으로 시작하는 파일을 보여주려면 다음과 같이 설정합니다.
force_dot_files=YES
5) ftp 접속시 파일과 디렉토리의 소유권을 숨기려면?
특수한 목적으로 파일 및 디렉토리의 소유자를 숨길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 다음과 같이 설정하면, ftp라는 사용자로 보이며, 본 ID는 보이지 않습니다.
hide_ids=YES
6) 하위디렉토리의 파일 및 디렉토리를 볼수 있는 ls -R 명령 허용하려면?
하위디렉토리 리스트를 보여주기 위해서 ls -R 명령어를 내릴때가 있습니다. 이런경우 대부분의 ftp 서버는 부하등의 이유로 막아 두게 됩니다. vsftpd또한 기본적으로 막아 놓은 상태이며, 허용하기 위해서는 다음 지시자를 입력하세요.
ls_recurse_enable=YES
7) openssh에 chroot 패치가 된 것을 사용하는데 정책을 같이 적용하려면?
openssh에 패치를 가하면, ssh 또한 자기 home 디렉토리를 벗어나지 못하게 설정가능합니다. 이 정책은 /etc/passwd파일의 홈디렉토리 부분에 /home/사용자/./ 와 같이 "/./"을 붙여 사용자를 홈디렉토리로 제한하게 됩니다. 이 정책에 따라 적용하려면, 다음 옵션을 적용하시기 바랍니다.
passwd_chroot_enable=YES
8) 파일을 올렸는데 시간이 이상하게 보인다면?
대부분의 ftp서버에서 시간 표현은 표준시각(GMT)을 보여주게 됩니다. 국내에서만 사용하는 ftp서버는 다음 옵션으로 국내 시간으로 보여줄 수 있습니다.
use_localtime=YES
9) 전송속도를 제한하고 싶다면?
다운로드 받는 한 사용자가 네트웍 트래픽을 모두 사용해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대역폭을 조정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다음 옵션으로 가능합니다. 뒤에 나오는 숫자의 단위는 (Bytes/Sec) 입니다.
local_max_rate=300000
위 설정은 300KByte/Sec의 대역폭을 제공합니다.
10) 동시 접속자수를 제한하려면?
ftp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최대 접속수를 제한하려면, 아래의 설정으로 제한 가능합니다.
max_clients=10
위 설정은 동시에 10개의 연결으로 제한합니다.
11) 한 IP당 접속할 수 있는 동시접속 수 제한하려면?
ftp서버의 한 사용자가 대역폭을 모두 사용해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송 속도를 제한하면, flashget 등의 유틸리티로 몇개의 접속으로 나눠 받으면 대역폭 제한을 우회 할 수 있습니다. 이런경우 한 IP에서 접속 가능한 동시접속 수를 제한하므로 해결 가능합니다.
max_per_ip=2
위 설정은 한 IP에서 접속할 수 있는 연결을 2개로 제한합니다.
12) PASSIVE 모드 사용시 사용하는 포트 범위를 제한하려면?
FTP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 20번 포트를 사용합니다. 이경우 서버에서 클라이언트 쪽으로 연결을 하기 때문에 중간에 방화벽 또는 공유기등을 사용한다면, 정상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위해서 PASSIVE모드라는 것이 있고, 이 모드에서는 서버의 1024이후 포트를 사용합니다. 이 포트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합니다.
pasv_min_port=40000
pasv_max_port=50000
위 설정은 PASSIVE에서 사용할 포트를 40000~50000로 합니다.
13) mp3, wmv 등의 확장자를 가진 파일의 업로드를 금지하려면?
ftp를 통해 인증된 사용자가 파일을 올리는 것을 막는 방법은 거의 없었습니다. 이 vsftpd는 특이하게 특정파일 패턴을 제한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deny_file={*.mp3,*.wmv}
위 설정은 mp3, wmv 파일을 전송하지 못하게 하는 방법입니다.
14) 특정파일 패턴을 숨기려면?
특정파일이 서버내에는 존재하지만, ftp접속시 보여지지 않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다음예를 보시기 바랍니다.
hide_file={*.mp3,.hidden,hide*,h?}
위 설정은 mp3파일, .hidden 파일, hide로 시작하는 파일을 보여지지 않게 하는 옵션입니다.
/////////////////////////////////////////////////////////////////////////////////////////////////////////////////////////////////////////////////////////////////////////////////////////////////////////////
# anonymous 사용자의 접속 허용 여부 (default = YES)
# 공개된 형태의 FTP 서버로 운영할 것이 아니라면 NO로 한다.
anonymous_enable=NO
# 로컬 계정 사용자의 접속 허용 여부 (default = NO)
local_enable=YES
# write 명령어 허용 여부 (defualt = NO)
write_enable=YES
# 로컬 계정 사용자용 umask (default = 077)
local_umask=022
# anonymous 사용자가 파일을 업로드 할 수 있는지 여부 (default = NO)
# anon_upload_enable=YES
# anonymous 사용자의 디렉토리 생성 허용 여부 (default = NO)
# anon_mkdir_write_enable=YES
# 파일 전송 로그를 남길 것인지 여부 (default = YES)
xferlog_enable=YES
# xferlog 표준 포맷으로 로그를 남길지 여부 (기본 설정파일은 YES)
# 아래에서 NO로 설정했을 때를 설명함
xferlog_std_format=YES
# 파일 전송 로그 파일명
xferlog_file=/var/log/vsftpd.log
# FTP 서버 접속할 때 로긴 메시지 (default = vsFTPd 버전번호)
# 한글 사용 가능
# ftpd_banner=Welcome to blah FTP service.
# 사용자의 홈디렉토리를 벗어나지 못하도록 제한하기 위한 설정 (default=NO)
# 제한이 필요할 경우 YES로 바꾼 후 제한할 사용자 ID를 chroot_list_file= 에 설정한 파일에
# 지정한다.
# chroot_local_user= 설정과 관련이 있으니 '3. 문제 해결'을 꼭 읽어보라.
#
# chroot_list_enable=YES
# chroot_list_file=/etc/vsftpd.chroot_list
# -------------------------------------------------------------------
# 기본 설정 파일에는 없는 설정값으로 필요한 설정만 추가한다.
# ※ 중요한 설정은 굵은 글씨로 표시
# -------------------------------------------------------------------
# PAM 파일명을 지정 (설치할 때 /etc/pam.d/vsftpd명으로 복사함)
pam_service_name=vsftpd
# wtmp에 로그 남기기 (YES로 해야만 last 명령어로 접속 여부 확인 가능)
session_support=YES
# 사용자가 자신의 home directory를 벗어나지 못하도록 설정
chroot_local_user=YES
# 새로운 디렉토리에 들어갔을 때 뿌려줄 환경 메시지를 저장한 파일명
# message_file=.message
# xferlog 형식으로 log를 남기려면 (위에서 이미 YES로 했음)
# xferlog_std_format=NO
#
# - xferlog 표준 포맷은 로긴, 디렉토리 생성등의 로그를 남기지 않음
# 그러나 vsftpd 스타일 로그는 이를 포함한 보다 상세한 로그를 남김
# - vsftpd 스타일 로그 예
#
# Sun Jul 12 01:38:32 2003 [pid 31200] CONNECT: Client "127.0.0.1"
# Sun Jul 12 01:38:34 2003 [pid 31199] [truefeel] FAIL LOGIN: Client "127.0.0.1"
# Sun Jul 12 01:38:38 2003 [pid 31199] [truefeel] OK LOGIN: Client "127.0.0.1"
# Sun Jul 12 01:38:41 2003 [pid 31201] [truefeel] OK MKDIR: Client "127.0.0.1", "/mp3"
# Sun Jul 12 01:39:06 2003 [pid 31201] [truefeel] OK UPLOAD: Client "127.0.0.1", "/델리
# 스파이스 5집 - [04]키치죠지의 검은 고양이.mp3", 6855473 bytes, 3857.39Kbyte/sec
# 전송속도 제한 (0은 제한없음, 단위는 초당 bytes)
anon_max_rate=0
local_max_rate=0
trans_chunk_size=0
# 최대 접속 설정 (단 xinetd를 통하지 않고 standalone으로 동작할 때만 사용 가능)
# standalone을 위해서는 listen=YES 추가하고 별도로 vsftpd를 띄워야 함
#
# max_clients=최대 접속자 수, max_per_ip=IP당 접속 수
# max_clients=100
# max_per_ip=3
# Standalone 으로 운영할 때 listen=YES. 포트 변경을 원할 경우 listen_port 설정
# 디폴트 포트는 21번 포트이다.
# listen=YES
# listen_port=21
전 WDM과는 별도의 것이라고 생각했었는데 ...그게 아니더군요..WDM의 단점을 극복하기위해 나온 프레임워크라고 해야할것입니다.
번역하면서 느낀건데 몬소린지 모르겠더군요 ....
일단 문서를 보시면 소개부터 좔좔.....모라고 쓰여있는데....나중에 시간나면 올리도록하고
제가 생각하기에 중요하다고 생각되는부분만 다루겠습니다.
WDM은 심각한 제한을 가지고있는데 WDM드라이버는 수천라인의 코드를 가지고있습니다. 이것은 드라이버가 지원해야하는 공통의 특징을 구현하는데 WDM 드라이버는 그 OS커널에서 직접적으로 나오는 디바이스 드라이버 인터페이스(DDIs)를 사용합니다. 그러나 이 DDIs는 오류가 존재하며 이 오류로 인하여 시스템이 망가질수있기때문에 WDF가 나오게 되었습니다.
KMDF-커널 모드 드라이버 프래임워크를 나타내는 말이며
UMDF-유져 모드 드라이버 프래임워크를 나타내는 말입니다.
일단 오브젝트모델이라는것이있는데 이부분은 아직 이해가 안되서 나중에하고
I/O 모델이있습니다. 여기서는 I/ORequest Flow가 나오는데 말그대로 받아들이시면됩니다.
1. IRP dispatcher은 IRP를 점검하고 그것을 I/O package로 보냅니다.
2. I/O package는 WDF request 오브젝트를 만들고 IRP를 나타냅니다. WDF request object를 대기열에 추가하고 현재의 전원상태를 검사합니다.
3. 장치는 low-power에서 있기때문에 I/O package는 read operation을 수행할수있도록 Plug and play/power package를 호출합니다.
4. Plug and Play/power manager package는 defulat 조치를 취하고 driver에 의해 구현된 적절한 전원 관리 callbacks를 부름으로써 작업상태에 대한 장치를 return시켜 줍니다.
5. 그 장치가 성공적으로 작업상태에 들어왔을때, 프래임워크은 그 드라이버에 read 요구를 신속히 처리합니다.
6. 드라이버가 일을 신속히 처리했다면 , 드라이버는 요구를 얻기위해 대기열의 매소드를 호출합니다.
7. 드라이버가 요구를 만족시킬 수도 있다면, 이대로 동작할수있고 할 수 없다면, I/O 타겟에 대한 요구를 보냅니다.
으아 피곤하네요 ㅠㅠ
많은 양은 아니지만 시간날때 KMDF,UMDF의 프래임워크에대해 설명하도록하겠습니다. ㅠㅠ
CMP AL,'A'
JE ENDCODE
CMP AL,'+'
JE BASEPOINTER
CMP AL,'-'
JE BASEPOINTER
CMP AL,'/'
JE BASEPOINTER
CMP AL,'*'
JE BASEPOINTER
CMP AL,'='
JE BASEPOINTER2 ;연산자 찾기
CMP AL,0Dh
JE RESULT
PUSH AX ;스텍이 저장
INC CX ;몇자리 숫자인지 판단하기위함
JMP INPUT
RESULT:
MOV DX,[BP-4] ;연산자를 DX로 이동
CMP DX,'+'
JE ADDS
ADDS:;더하기
MOV AX,VALUE_A
MOV DX,VALUE_B
MOV AH,00h
MOV DH,00h
ADD AL,DL
MOV DX,0000h
PUSH DX
ITOA: ;이함수는
MOV CL,10 ; 10을 넣고
DIV CL ;AL을 10으로 나누는데 나눈 나머지는 AH에 저장이 된다.
;몫은 AL에 저장
MOV DL,AH ;나머지를 넣고
ADD DL,30h ;아스키화 시키고
MOV DH,00h
MOV AH,00h ;나머지값 저장소 초기화
PUSH DX ;스텍에 저장
CMP AL,00H;몫이 없으면
JE PRINT_A
JMP ITOA
PRINT_A:
MOV DL,0Ah
MOV AH,02h
INT 21h
MOV DL,0Dh
MOV AH,02h
INT 21h;;개행한뒤
PRINT_AA:
POP DX;아까 나머지를 저장한것을 하나씩 빼온다.
CMP DL,00h;나오는게 없으면
JE ENDCODE;종료
MOV AH,02h
INT 21h;있으면 출력
JMP PRINT_AA
BASEPOINTER:
MOV [BP-4],AL ;찾은 연산자는 BP에 저장
JMP STACK_POP1
BASEPOINTER2:
MOV [BP-8],AL ;=는 다음BP에 저장
JMP STACK_POP2
STACK_POP2:
CMP CX,2 ;두자리 숫자이면
JE DOUBLE_VALUE_B
POP AX ;한자리 숫자이면
MOV AH,00h;
AND AL,0Fh;정수화 시키고
MOV VALUE_B,AX ;데이타 세그먼트에 저장
MOV CX,0 ;자릿수 초기화
JMP INPUT
DOUBLE_VALUE_B:
POP AX ;두자리 숫자이면 일의 자리를 불러오고
MOV DX,AX ;저장
POP AX ;십의 자리를 불러오고
MOV AH,00h
MOV DH,00h
AND AL,0Fh ;정수화시킴
AND DL,0Fh ;정수화시킴
MOV CH,00h
MOV CL,10 ;10을 넣고
MUL CL ;10의 자리 숫자와 10을 곱함
ADD AL,DL ;그리고 1의 자리 숫자와 더함
MOV VALUE_B,AX ;정수화가 된 값을 저장
MOV CX,0 ;자릿수 초기화
JMP INPUT
STACK_POP1:
CMP CX,2 ;두자리 숫자이면
JE DOUBLE_VALUE_A
POP AX ;한자리 숫자이면
MOV AH,00h;
AND AL,0Fh
MOV VALUE_A,AX ;데이타 세그먼트에 저장
MOV CX,0 ;자릿수 초기화
JMP INPUT
DOUBLE_VALUE_A:
POP AX
MOV DX,AX
POP AX
MOV AH,00h
MOV DH,00h
AND AL,0Fh
AND DL,0Fh
MOV CH,00h
MOV CL,0Ah
MUL CL